대규모 해킹 피해로 또다시 상장폐지(거래지원 종료) 위기에 몰렸던 가상자산 위믹스(WEMIX)의 운명이 결정되는 시간이 다시 한번 미뤄졌습니다.
디지털자산거래소 공동협의체(DAXA, 닥사)는 오늘(4월 18일), 위믹스에 대한 거래유의 종목 지정을 연장한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지난 3월 18일에 이은 두 번째 연장 조치로, 최종 결정은 5월 첫째 주(4월 28일~5월 2일) 중에 나올 것으로 예상됩니다.
https://youtube.com/shorts/qtmn5_fL_OA?feature=share
두 번의 연기, 왜?
DAXA 측은 연장 사유에 대해 "유의종목 지정에 관한 사실관계 및 후속조치 등에 대해 프로젝트 측(위믹스 재단)으로부터 소명을 받고 이에 대한 추가적인 검토 절차를 진행 중"이라며, "면밀한 검토를 위해 거래유의 지정을 연장한다"고 설명했습니다. 즉, 위믹스 측이 제출한 해킹 사건 경위, 재발 방지 대책, 피해자 보상 방안 등에 대한 자료를 아직 검토 중이며, 최종 결정을 내리기까지 시간이 더 필요하다는 의미입니다.
DAXA(닥사)란? : 고팍스, 빗썸, 업비트, 코빗, 코인원 등 국내 5대 원화마켓 가상자산 거래소로 구성된 협의체입니다.
📉 발단은 '90억 해킹', DAXA의 지적 사항은?
이번 위믹스의 두 번째 상장폐지 위기는 지난 2월 말 발생한 대규모 해킹 사건에서 시작되었습니다.
- 사건 개요: 위메이드의 블록체인 자회사인 위믹스 재단은 지난 3월 4일, "2월 28일 '플레이 브릿지 볼트'에 대한 악의적인 외부 공격으로 약 865만 개의 위믹스 코인이 비정상적으로 출금됐다"고 공지했습니다. 당시 시세로 약 90억 원에 달하는 큰 규모였습니다.
- DAXA의 '유의종목' 지정 사유 (3월 4일):
- 이용자의 합리적인 투자 판단이나 가상자산 가치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요사항(해킹 피해)을 불성실하게 공시했다는 점.
- 사건 발생 원인에 대한 명확한 소명이 부족하다는 점.
- 피해자 보상 방안이 부재하다는 점.
DAXA는 이러한 이유로 위믹스를 '거래유의 종목'으로 지정하고, 약 2주간의 소명 기간을 거쳐 상장폐지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었으나, 소명 자료 검토를 이유로 결정을 두 차례 연기한 것입니다.
⏳ 위믹스의 '잔혹사', 과거 상폐 아픔 딛고 재상장했지만…
위믹스에게 이번 위기는 더욱 뼈아픕니다. 위믹스는 지난 2022년 12월, 공시된 유통 계획량과 실제 유통량이 다르다는 이유로 DAXA 소속 5대 거래소에서 일제히 상장 폐지되는 아픔을 겪었습니다.
이후 법적 공방과 절치부심 끝에 2023년 초, 업비트를 제외한 빗썸, 코인원, 코빗, 고팍스 4개 거래소에 재상장하며 기사회생하는 듯했습니다. 하지만 1년여 만에 대규모 해킹 사건에 발목이 잡히며 또다시 상장폐지 기로에 서게 된 것입니다.
🗓️ 5월 초, 운명의 시간… 전망은?
이제 위믹스의 운명은 5월 첫째 주로 넘어갔습니다. DAXA가 위믹스 재단의 소명 내용과 후속 조치를 어떻게 평가하느냐에 따라 거래지원 유지 또는 종료(상장폐지)가 최종 결정됩니다.
- 거래지원 유지: 위믹스 재단의 소명이 충분하고, 투자자 보호 조치(보안 강화, 피해 보상 등)가 적절하다고 판단될 경우 유의 종목 지정이 해제되고 거래가 계속될 수 있습니다.
- 거래지원 종료 (상장폐지): 소명이 불충분하거나 투자자 보호 조치가 미흡하다고 판단되면, 2022년에 이어 또 한 번 주요 거래소에서 퇴출당하는 최악의 상황을 맞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위믹스의 가격 변동성은 극심해질 수 있으며 투자자들의 큰 피해가 우려됩니다.
✨ 마무리하며: 투자자 주의 요구되는 시점
위믹스의 상장폐지 여부 결정이 다시 한번 연기되면서 투자자들의 불안감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위믹스 재단이 남은 기간 동안 DAXA와 투자자들을 납득시킬 만한 책임 있는 자세와 구체적인 해결책을 제시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해졌습니다.
위믹스 투자자분들께서는 5월 초 DAXA의 최종 결정을 예의주시하시고, 변동성이 커질 수 있는 만큼 투자에 각별한 주의를 기울이시길 바랍니다.
위믹스의 운명, 여러분은 어떻게 예상하시나요? 댓글로 의견을 나눠주세요! 👇
'경제 > 암호화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웹3(Web3)란 무엇일까요? (1) | 2025.03.24 |
---|---|
아발란체(Avalanche)란? 빠르고 유연한 차세대 블록체인 (1) | 2025.03.24 |
톤코인(Toncoin), 텔레그램에서 탄생한 강력한 블록체인 (2) | 2025.03.24 |
USDC란? 암호화폐 시장의 든든한 '달러 친구' (1) | 2025.03.24 |
리플(Ripple)이란? 은행 간 송금을 더 빠르고 저렴하게! (2) | 2025.03.23 |